불한당 명랑쾌활

단상

아무리 그럴듯해도 견해는 견해일 뿐

명랑쾌활 2017. 11. 27. 13:02

이원복 작가는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편에서, 일본인의 폐를 끼치지 않으려는 문화를 섬나라라는 지리적 원인에서 비롯됐다고 했다.

대륙은 타인에게 해를 끼쳤어도 지역의 경계가 열려 있기 때문에 멀리 옮겨가면 되지만, 섬은 닫혀있기 때문에 해를 끼치고, 그에 대한 복수가 거듭되다 보면, 결국에는 아무도 살아남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될 수 있는대로 서로 폐를 끼치지 않는 문화가 형성됐다는 해석이었다.

그 논리가 그럴듯해 그대로 받아 들였다.

많은 시간이 지나, 또 다른 섬나라인 인니를 이해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 되어, 이원복 작가의 해석을 적용하여 이해하려고 했다.


인니의 말루 malu (부끄러움, 수치, 폐) 문화를 이해하던 시기에는 일본과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인니의 말루는 자신의 잘못에 대한 부끄러움이 아니라, 자신의 잘못이 '발각됐다는 사실'에 대한 부끄러움이다.

그리고, 자신을 말루하게 만든 사람에 대한 복수심을 느끼는 것은 정당한 감정으로 간주된다. (잘잘못과는 별개다!)

따라서, 타인의 잘못에 대해 지적하지 않거나, 아주 완곡하게 돌려서 전하는 태도가 바람직하다고 간주된다.

직설적으로 말하는 한국 문화와 달리, 완곡하게 자신의 뜻을 전달하는 일본 문화와 비슷하다고 느낀 부분이다.

하지만, 비슷한 부분은 거기까지였다.

일본은 폐가 될만 한 일은 가급적 하지 말고, 폐가 아닐 것 같은 일도 안전빵으로 양해의 뜻을 열심히 표하는 문화로 발전한 반면, 인니는 어지간한 일들은 폐가 아닌 것으로 하고, 폐를 당했더라도 가급적 지적하지 말고 넘어가는, 전혀 다른 문화로 발전했다.


폐가 어느 정도를 넘으면, 항의를 해야 부딪힘은 있더라도 그 정도를 넘지 않으려고 서로 조심하게 된다.

하지만, 타인의 잘못을 지적하는데 삼가는 문화라면 정도를 살짝 넘는 것에 대해서는 참고 넘어갈테고, 자신 역시 역으로 침해 당한 정도만큼은 상대를 침해할 것이다.

그런 패턴이 반복되면서 예전에는 폐였던 것들이 점차 예삿일이 되어가고, 서로 폐 끼치는 걸 적당적당 넘어가는 문화만 강화된다.

타인의 잘못을 지적하지 않는 문화를 토양으로, 인니 문화는 어느 정도가 폐가 되는가의 기준을 느슨하게 낮추는 걸로 발전하게 됐다.

섬나라라는 동일 조건에서 인니는 일본과 정반대의 문화를 형성한 것이다


어떤 지역의 문화를 지리 배경으로 설명하는 건 설득력이 있지만, 비슷한 지리 배경의 다른 지역에서 유사할 것이라고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한 지역의 문화가 형성되는데 지리적 요인은 여러가지 요건 중 하나일 분이다

이미 나온 결과에 대한 납득을 위한 유추는 가설일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법칙이 아니다.

납득하려 노력하는 태도는 납득을 거부하려는 태도만큼이나 편향적일 수 있다.

견해는 견해일 뿐, 진리가 아니라는 사실을 항상 잊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