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한당 명랑쾌활

단상

유일신교 대 다신교 - 증오는 상대적 우위의 원동력

명랑쾌활 2017. 11. 22. 11:10

다신교가 원시적이거나 잘못된 신앙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도태되었다는 주장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경쟁에서의 존속과 도태는 옳음과 그름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정의가 이긴다는 건 개소리다.)

상황에 더 적합한 것이 살아남는다.

유일신교가 다신교에 비해 상황에 더 적합했기 때문에 존속한 거다.

그 적합함의 원동력은 상대에 대한 배척이다.


다신교는 다름에 포용적이다.

하늘신, 땅신, 물신이 있는데, 이웃 부족 곰신이라고 배척할 이유 없다.

곰신 부족과 싸우는 이유는 이해 관계의 충돌일 뿐, 곰신이 악신이기 때문은 아니다.

종교라는 공통적 가치관을 통해 사회 집단의 규모 제한을 깨트린 초기 국가나 아직 정복할 지역이 충분했던 초기 제국까지는 다신교로 충분했다.

다신교는 포용의 종교다.

초기 국가 형성기까지는 토지에 비해 사람이 부족했기 때문에, 사람은 중요한 인적 자원이었다.

죽여 없애기 보다는 포용하는 편이 이익이다.

하지만, 사회 집단이 초기 국가와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거대해지고, 다른 거대집단과 대립해야 할 상황, 심지어 말살시켜야 할 필요성이 커진 상황에서, 죄책감을 없애줄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논리는 유일신교의 교리가 됐다.

유일신교는 근본적으로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일신교를 기반으로 한 집단은 다른 종교를 말살하거나 교화해야 할 대상으로 본다.

보다 확고한 적대감을 갖는다.

인간 집단의 싸움은 적을 말살하겠다는 의지가 강하고, 그 행위에 대한 죄책감이 적은 집단이 승리할 가능성이 높다.

전쟁에 명분이 필요한 이유다.

적을 해쳐야 하는 당위성과 그 행위에 대한 옳음을 납득하게 되면, 군중은 무슨 짓이든 한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통용되는 가치, 즉 '정의'가 됐다.


유일신교 역시 근본은 사랑을 설파하지만, 그 종교를 이용하는 기득권층에 의해 그 사랑은 동류에 한정되어 버렸고, 그 반대 급부로 이류에 대한 증오가 강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