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한당 명랑쾌활

Indonesia/서식기 V

[풍경들과 추억들] 1.

명랑쾌활 2020. 11. 30. 13:00

인니 살면서 멋진 하늘 풍경을 볼 때마다 틈틈히 찍어 모아뒀던 사진들을 오랜만에 정리해봅니다.


첫 직장 공장 뒷마당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저멀리서 국지성 폭우가 다가오고 있는 광경이네요.

한 시간 후, 퇴근 시간이 되어서는 이곳에도 비가 와장창 쏟아져서 직원들이 비 맞고 집에 갔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이 날은 12월 31일이었습니다.


첫 직장은 까라왕 Karawang 에 있었습니다.

기숙사는 까라왕 서쪽의 찌까랑 Cikarang 에 있었고요.

동서로 가로지르는 유료도로를 타고 퇴근하다보면 종종 차 전면에 황혼이 내리는 광경을 보곤 했습니다.

보통 해가 진 이후에 퇴근했기 때문에 자주는 보지 못했어요.


이 당시, 저 들판 근처에 현대 자동차 공장이 들어설 거라고는 누가 상상했겠어요.

하지만, 현대 자동차 고위직들은 동남아 진출에 대해 생각은 하고 있었겠죠.


회사 기숙사가 있던 찌까랑 주택단지에서 찍은 사진이군요.

'아 씨바, 회사 퇴근하고 기숙사로 출근하는구나...' 하면서 차에서 내렸는데, 석양 위치가 절묘해서 저도 모르게 찍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기숙사 생활은... 제가 얼마나 권위주의식 단체 생활에 맞지 않는지 알게 해줬습니다.

직장 상사니까 자신이 인격적으로도 높은 사람이라고 인식하는 무식한 감수성은 정말 참기 힘들더군요.

원래 입사 조건은 처음엔 임시로 기숙사 생활하지만, 어느 정도 안정되면 따로 사택을 제공한다는 거였습니다만, 결국 그 조건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위의 사진 찍은지 몇 개월 후, 공장 구역 내에 신축한 기숙사에 들어가 살게 되었죠.

그리고, 차라리 회사 외부 기숙사가 훨씬 나았다고 여길 정도로 지옥같은 생활을 하게 됐습니다.

군생활 하면서 인간 본성 밑바닥 꽤 겪었다고 생각했는데, 사회에서 닳고 닳은 인간들에 비하면 그 정도는 이제 갖 성인된 꼬맹이들의 귀여운 투닥거림이었더군요. ㅋㅋ

참 많은 걸 배우고 느낀 시절이었습니다.


업무 시작 시간은 오전 7시였습니다.

해넘이는 몰라도 해돋이는 거의 매일 봤네요.

알람은 새벽 5시 반에 맞춰뒀지만, 보통은 그 전에 일어났습니다.

늦어도 밤 10시 전에 취침을 했고, 그 전에 8시든 9시든 졸리면 잤으니까요.

어렸을 때 그렇게 들었던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라는 얘기가 왜 그렇게 좋은 건지 몇 십년이 지나서야 깨달았습니다.

한국의 직장인들이 왜 그리 피곤을 달고 사냐면, 늦게 자서예요.

하긴 뭐 저도 팔팔하던 시절엔 새벽 1시 이전에 자는 건 인생 낭비라고 생각했었습니다. ㅎㅎ


인니에서 직장을 다니면서는 매일 꼬박꼬박 새벽에 출발했지만, 출근이 싫었던 적이 거의 없었습니다. (가장 최근 회사를 제외하고는요.)

총괄 관리자로서 모든 일을 주체적으로 해야 해서 그랬지 않았나 싶습니다.

인니에 취업하면 신입도 무조건 관리자입니다.

지시 따르기만 하면 되는 일반직을 뭐하러 비싼 월급 주고 외국인 시키겠어요.


한국 직장 시절엔 왜 해야 하는지 모른채 시키는대로 따르고, 월급 받으려 어영부영 시간만 때우고 살았습니다.

정말 회사 가기 싫었지요.

같은 월급 받으면서 조금이라도 더 뺀질거리면 그 게 이득이라고 생각했었던 어리석은 시절이었습니다. ㅎㅎ

아, 죽을둥 살둥 열정을 바쳐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월급쟁이가 그러는 건 미련한 짓이예요.

조금이라도 일 덜하려고 머리 썼던 게 어리석었다는 뜻입니다.

뺀질거려봐야 시간도 잘 안가고 눈치만 보이죠. 업무 시간에는 업무를 하는 게 맘편하고 시간도 잘 갑니다.

뭣보다도, 관리자 눈치 볼 필요 없으니 비굴해지지 않고요.


관리자 입장이 되어보니 딱히 노력 따위 하지 않아도 뺀질거리는 직원, 성실한 직원, 오버해서 부지런한 직원 저절로 눈에 다 들어오더만요.

관리자가 눈에 불을 키고 현장 돌아다니는 건 뺀질거리는 직원 색출하려는 게 아니라, 뺀질거리지 못하게 액션을 보이는 것 뿐입니다.

숨어서 요령 피우면 모르겠지~ 했던 옛 시절이 부끄럽습니다. ㅋㅋ


2013년도 르바란은 8월 초였습니다.

비행기 창밖 하늘에 동이 트면 한국에 거의 도착했다는 뜻입니다.

이 때 느끼는 묘한 감정은 외국에 살다가 오랜만에 귀국하는 사람만 알 겁니다.

감히 딱 잘라 얘기합니다만, 외국에서 살아보지 못한 사람이 '우리 나라'에 대해 갖는 느낌은 추상적입니다.

월드컵 때처럼 '적'이 존재할 때나 비로소 실감할 뿐이지요. (덜 애국자라는 뜻이 아니니, 오해하지 마시길.)

남의 집에 살아봐야 '우리 집'을 실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게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요.


대만 지룽시 상공

휴가를 마치고 인니로 가는 건 '돌아간다'는 느낌입니다.

한국은 다니러 가는 거고, 일터와 삶의 터전은 인니에 있으니까요.

한국 떠난다고 질질 짤 건 아니지만, 매년 뵐 때마다 늘어난 세월의 흔적이 확연하게 보이는 부모님을 뒤로 하고 떠나는 건 괴로운 일입니다.

자주 볼 때는 그 변화를 잘 느끼지 못합니다.


익숙한 근거지를 떠나 살게 되면 인간은 성숙해지기 마련입니다. 혹은 각박해지거나요.

너무 당연해서 생각지도 않았던 것들을 일일이 다 생각하다 보면, 그리 되지 않을 재간이 없습니다.


대만 이란현과 구이산섬

인니의 볼만 한 관광지들 여행하고 나면 동남아를 여행하겠다고 마음 먹었는데, 아직도 그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니 내 볼만 한 곳이 그렇게 많을지 몰랐던 거죠.


퇴근 후 '집'에 갔다가 나와서 찍은 사진입니다.

멋진 풍경이지만, 이 사진을 찍고 있는 제 마음은 아주 우울했습니다.

르바란 휴가 복귀 후, 공장 내 기숙사에서 살기 시작했거든요. (네, 공장 내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ㅎ)

퇴근했는데 전혀 퇴근한 거 같지 않은 엿같은 나날이었습니다.

저임금 국가의 한국 기업 공장에서 일하는 한국인 중 많은 사람들이 이런 생활을 감수하고 삽니다.


제 편견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기숙사 생활을 오래 한 한국인들은 공통적으로 권위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것 같습니다.

일과 후에도 막사에 부대끼며 살아야 하는 군대나 다름 없는 생활을 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한국 회사의 단체 생활 버티려면 집단주의 체제에 승복해야 합니다.

퇴근 후에는 부하직원을 동등한 인격체로 대할 수 있을 정도 수준의 인문학적 소양을 가진 한국인은 단언컨데 1%도 안될테니까요. (멍청해서가 아니라, 그런 생각을 할 겨를이 없는 사회에서 살았기 때문에요.)

집단주의 체제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은 기숙사 생활 못버텨요.

어찌어찌 버텨내다 보면 점점 사람이 황폐해지고요.

인니 직장 기숙사 생활 몇년 되지도 않았는데 사고방식이 50, 50대 꼰대처럼 변한 서른 살 전후 청년들이 그리 드물지 않습니다.